교육과정

애도전문가 과정 | 교육과정

애도전문가 과정

한국싸나톨로지협회 및 학회는 국제 죽음교육기관인 국제싸나톨로지협회(www.adec.org)와 미연방호스피스협회(HFA), 국제애도상담기관(ACBG), SDL재단이 공동으로 인증하는 애도전문가과정을 다음과 같이 시행하고자 합니다. 외상과 박탈적 비탄, 그리고 복합비탄으로 규정될 수 있는 한국사회의 병리적 현상을 분석하고 치유할 <애도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뜻있는 분은 선한 마음을 품고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애도전문가 지원대상>

▶ 4년제 이상 대학졸업자

▶ 관련경험 1년 이상

▶ 추천서(2명)


<교육일정 및 인증서>

▶ 3급과정 : 2018년도 2월~5월2(4개월) / 수료 후 한국싸나톨로지학회 명의 애도전문가 3급 인증서 부여

▶ 2급과정 : 2018년도 9월~12월(4개월) / 수료 후, 한국싸나톨로지학회 명의 애도전문가 2급 인증서 부여

▶ 1급과정 : 2019년도 2월일~5월(4개월) / 수료 후, 국제싸나톨로지협회(ADEC) 미연방호스피스협회(HFA), 국제애도상담기관(ACBG), SDL재단 공동명의의 애도전문가 1급 인증서 부여


애도전문가 3급 교과내용 및 담당교수

애도이론에 대한 싸나톨로지의 서지학적 문헌비평을 통해, 학문의 보편적 이론을 구축하는 과정입니다. 문헌비평의 여과 없이는 멀리 뛰어갈 수 없습니다. 애도를 둘러싼 인접학문의 융.통섭적 관점과 이론을 탐색 분석해봅니다.


1) 유식사상과 프로이트(융)의 무의식 및 우울증의 정역학적 이론 : 임병식(한국싸나톨로지학회장, 의학・철학・죽음학전공)

2) 싸나톨로지에서의 애도이론과 《예기》의 애도구조 분석비교 : 유은주(북경대학 철학박사, 의례학전공)

3) 야스퍼스와 빅터프랭클의 "실존의미치료"분석 김정현(원광대 철학과 교수, 생명치유철학전공)

4) 인지심리학과 Neimeyer "의미형성" 연구 : 박길수(강원대 철학과 교수, 철학상담치료전공)

5) 공감론과 Worden의 "애도상담"분석 : 임병식(한국싸나톨로지학회장, 의학・철학・죽음학전공)

6) 감정론과 "이중과정모델"(Stroebe와 Schute)분석 : 임병식(한국싸나톨로지학회장, 의학・철학・죽음학전공)

7) 맹자의 "입명론"과 Klass의 "인간의 가능성" 비교 : 주광호(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주역학전공)

8) 현상학의 '의식개념'과 Shapiro의 '의미구성적 관점' 이해 : 박길수(강원대 철학과 교수, 철학상담치료전공)

9) 최면학과 ‘받아들일 수 없는 사별’의 수용과 분석 : 김영우(신경정신과 전문의, 의학・심리학박사, 미국임상최면학회자문위원)

애도전문가 2급 교과내용 및 담당교수

상실과 죽음으로 인한 비탄을 해결해 나가는 애도의 다양한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하면서, 이에 대한 경험적 분석과 이론을 토대로 치료방법을 함께 찾아봅니다. 오랜 기간 현장에서 내담자들과 함께 동고동락했던 치료사들의 실재적 경험과 치료방법을 나누어 봅니다. 


1) 무의식(외상)적 우울증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전세일(전일의료재단 병원장, 재활・전일의학전공)

2) 복합비탄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홍명유(비올라대학 교육학박사, 신학・교육학전공)

3) 불안과 공황장애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오홍근(전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장, 신경정신과 전문의, 정신의학전공)

4) 의미상실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김정현(원광대 철학과 교수, 생명치유철학전공)

5) 박탈적 비탄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정혜경(동아대 교수, 문학치료전공)

6) 외상적 비탄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나양수(대구카톨릭대 상담대학원 교수, 나눔가족상담소장, 심리학전공)

7) 경계성 인격장애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김영우(신경정신과 전문의, 의학・심리학박사, 미국임상최면학회자문위원) 

8) 인지장애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박길수(강원대 철학과 교수, 철학상담치료전공)

9) 공감장애의 사례분석과 치료방법 : 임병식(한국싸나톨로지학회장, 의학・철학・죽음학전공)

애도전문가 1급 교과내용 및 담당교수

현재 내담자들의 비탄과 아픔을 치료하고 있는 치료사들의 전문 과목을 실재적으로 실습하는 과정입니다. 개별 내담자들의 다양한 증상에 대해 적용되고 있는 전문 과목의 적용범위와 유의미한 효과와 그 한계를 알아봅니다. 그리고 치료사의 일방적인 치료가 아니라. 내담자의 주도성과 자율성이 훼손되지 않는 내담자 중심의 치유의 가능성을 찾아봅니다.


 1) 실전 철학치료 : 박길수(강원대 철학과 교수, 철학상담치료전공)

2) 실전 인지치료 : 신경원(고려대평생교육원 죽음교육지도자 주임교수, 인지요가・명상전공)

3) 실전 공감치료 : 임병식(한국싸나톨로지학회장, 의학・철학・죽음학전공)

4) 실전 역학치료 : 주광호(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철학전공)

5) 실전 의미치료 : 김정현(원광대 철학과 교수, 생명치유철학전공 )

6) 실전 상담치료 : 나양수(대구카톨릭대 상담대학원교수, 나눔가족상담소장, 심리학전공)

7) 실전 발달치료 : 오주원(국제뇌교육종합대학교 교수, 심리학전공)

8) 실전 영성치료 : 홍명유(비올라대학 교육학 박사, 신학・교육학전공)

9) 실전 최면치료 : 김영우(신경정신과 전문의, 의학・심리학박사, 미국임상최면학회자문위원)


※ 과정문의 전화 및 이메일 : 010-5769-2727/ drlimroh@hanmail.net / 한국싸나톨로지협회(www.thanatologist.org)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