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나톨로지
연구관점과 연구분야 | 싸나톨로지
싸나톨로지는(Thanatology)는 “임종 및 죽음”에 대하여 여러 분과 학문(철학적 인간학, 신학, 의학, 심리학, 신경학, 문화인류학, 사회학, 윤리학, 교육학 등)에서 연구 결과 및 성과를 바탕으로 죽음에 대한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러한 싸나톨로지의 특성은 아래과 같은 여섯 가지 관점을 통한 여러 영역에 걸친 연구 활동으로 드러납니다.
1. 문화 및 사회화의 관점 (Culture, Socialization) : 죽음과 상실에 있어 민족/문화적, 사회적 요소의 영향에 중점.
2. 종교 및 영성의 관점 (Religion, Spirituality) : 종교 및 영성에 따른 신념이 임종과 죽음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
3. 역사적-현대적 관점 (History, Contemporary) : 죽음 경험에 대한 이론, 사회 제도의 역사적 변화와 맥락에 중점.
4. 생애 주기 문제의 관점 (Life Span Issue) : 죽음과 임종이 인간의 생애 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
5. 가족과 사회단체의 관점 (Family, Larger System) : 가족(관계적 결합 및 장기적 헌신의 공동체)과 개인의 관점에서 살펴본 죽음에 대한 사회적/인지적/물리적 측면과 임종/죽음/상실의 해석, 그리고 임종/죽음/비탄에 영향을 주는 개인과 가족을 넘어선 사회 단체에 중점.
6. 윤리 및 법적 관점 (Ethic, Law) : 임종과 죽음, 상실에 있어서의 가치 판단 및 의료 윤리의 원칙에 중점.
1. 임종 및 죽음 (Dying, Death) : 죽음에 직면하여 겪는 신체적/심리적/영적 경험, 불치병, 죽어가는 과정, 그리고 말기 환자를 위한 돌봄 등의 문제를 연구.
2. 임종 의사 결정 (End-of-life Decision Making) :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및 불치병 투병에 있어 개인과 가족들, 전문 간병인들이 취해야 할 선택과 결정 등의 문제를 연구.
3. 상실/비탄/애도 (Loss, Grief, and Mourning) : 상실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신체적/행동적/인지적/사회적 경험, 비탄 과정, 비탄과 기념을 둘러싼 관행(관습) 등의 문제를 연구.
4. 평가 및 개입 (Assesment and Intervention) : 의료인들이나 유가족, 사랑하는 이들이 죽어가는 이의 임종 시 요청을 알아내거나 들어주기 위해 필요한 결정과 행동에 관한 여러 문제를 연구.
5. 외상적 죽음 (Traumatic Death) : 갑작스럽거나 폭력으로 인한 죽음, 의도적인 죽음, 죽음과의 충격적인 조우 등으로 인해 생기는 여러 문제(PTSD, complicated grief)를 연구.
6. 죽음 교육 (Death Education) : 사회 및 가정, 병원, 학교나 단체 등에서 이루어지는 임종과 죽음, 사별에 대한 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방법론에 대한 연구.